" "
본문 바로가기
혜택

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및 지자체별 지원 총정리

by 살림수첩 2025. 6. 6.
반응형

 

3. 🏠 2025년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및 지자체별 지원 총정리

2025년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과 서울·인천 등 주요 지자체의 청년월세 지원 정책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. 청년이라면 반드시 확인하고, 기한 내 신청해 월세 부담을 확실히 줄이세요!

1. 2025년 국가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

  • 지원 대상: 만 19~34세 무주택 청년(병역 이행자는 병역기간만큼 연장, 최대 39세)
  • 거주 요건: 부모와 별도 거주, 보증금 5천만 원 이하 & 월세 60만 원 이하 주택 거주
  • 소득 기준:
    • 청년가구: 기준 중위소득 60% 이하
    • 원가구(부모 등): 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
  • 재산 기준:
    • 청년가구: 1억 2,200만 원 이하
    • 원가구: 4억 7,000만 원 이하
  • 지원 금액: 월 최대 20만 원, 최대 24개월(총 480만 원 한도)
  • 지급 방식: 청년 본인 명의 계좌로 매월 25일 현금 지급
  • 특이 사항: 주거급여 수급자는 주거급여액 차감 후 지급
  • 신청 기간: 2024년 2월 26일 ~ 2025년 2월 25일

신청 방법

  • 온라인: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신청
  • 오프라인: 주소지 관할 읍·면·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
  • 필수 제출서류:
    • 청년월세 지원 신청서
    • 소득·재산 신고서
    • 임대차계약서(확정일자 필수)
    • 월세 이체 내역(최근 3개월치)
    • 가족관계증명서(부모와 별도 거주 확인용)
  • 신청 후 약 45일 이내 지원 결정, 매달 25일 지급

2. 주요 지자체 청년월세 지원 프로그램

지역 지원대상 소득/재산 기준 지원금액/기간 신청방법
서울특별시 만 19~39세 무주택 청년 중위소득 150% 이하 월 최대 20만 원, 최대 10개월 서울주거포털 온라인 신청
인천광역시 만 19~39세 무주택 청년(청약통장 가입) 독립가구: 중위소득 60% 이하/1.22억 이하
원가구: 중위소득 100% 이하/4.7억 이하
월 최대 20만 원, 최대 12개월 군·구청 또는 주민센터 방문 신청
경기도 남양주시 만 19~34세 무주택 청년 청년가구: 중위소득 60%/1.22억 이하
원가구: 중위소득 100%/4.7억 이하
월 최대 20만 원, 최대 24개월 복지로 또는 읍면동사무소 방문

3. 유의사항 및 꿀팁

  • 중복 지원 불가: 국가사업과 지자체사업은 중복 수혜 불가(한 곳만 신청 가능)
  • 신청 기간 엄수: 기간 내 미신청 시 지원 불가, 반드시 기한 내 신청
  • 서류 미비 시 반려: 제출 서류 꼼꼼히 준비, 누락 시 접수 불가
  • 임대차계약서 확정일자 필수, 월세 이체내역은 최근 3개월치 필요
  • 주거급여 수급자는 주거급여액 차감 후 지원
  • 병역 이행자는 병역 기간만큼 연령 기준 연장(최대 39세)
  • 신청 후 약 45일 이내 지원 결정, 매달 25일 지급
  • 자세한 문의는 복지로(1600-0777), 각 지자체 청년정책과에 문의

4. 정부 및 지자체 관련 부서 안내

지역 부서명 연락처 바로가기
전국 국토교통부 청년주거복지과 044-201-4473 국토교통부
서울특별시 서울시 청년정책과 02-2133-6582 서울청년포털
인천광역시 인천시 청년정책과 032-440-2902 인천청년포털
남양주시 남양주시 청년지원팀 031-590-8545 남양주시청 청년월세 안내

5. 자주 묻는 질문 & TIP

  • 신청 후 언제 지급되나요? → 지원 결정 후 매달 25일 본인 계좌로 지급
  • 이사 등으로 임대차계약 변경 시? → 새 임대차계약서 제출, 변경 신청 필요
  •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, 2025년 이후에도 연장 가능성 있음(정부 정책 참고)
  • 병역 이행 시 연령 기준 연장, 혼인·사실혼도 신청 가능(입증서류 필요)

관련 영상

반응형

" "