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2025년 고령층 일자리 지원금 총정리
2025년, 정부는 초고령사회 대응과 어르신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고령층 일자리 지원금을 대폭 확대했습니다.
110만 개 이상 일자리와 다양한 맞춤형 지원이 준비되어 있으니, 아래 내용을 꼼꼼히 확인하세요!
110만 개 이상 일자리와 다양한 맞춤형 지원이 준비되어 있으니, 아래 내용을 꼼꼼히 확인하세요!
1. 고령층 일자리 지원 정책 개요
- 정부와 지자체가 만 60세 이상 고령자를 위해 공공 및 민간 일자리를 제공
- 2025년 일자리 규모: 약 109만 8,000개(2024년 대비 6만 8,000개 증가)
- 예산: 2조 1,847억 원(2024년 대비 1,583억 원 증가)
- 목적: 소득 보전, 건강 유지, 사회참여 확대, 노년기 삶의 질 향상
2. 고령층 일자리 유형 및 지원금
유형 | 연령/자격 | 주요 내용 | 지원금/급여 |
---|---|---|---|
공공형(공익활동형) | 만 65세 이상 (기초연금 수급자) |
지역사회 공익활동 월 30시간 내외 |
월 약 29만~30만 원 |
사회서비스형 | 만 65세 이상 (일부 60세 이상) |
사회복지·보건·교육 등 서비스 주 15시간 이상 |
월 71만 원 내외 |
시장형 | 만 60세 이상 | 소규모 매장·제조·판매 등 근로계약 체결 |
근로시간에 따라 차등 지급 |
신중년 경력형 | 만 60세 이상 (경력 보유자) |
전문분야 경력 활용 기업·기관 파견 |
월 90만 원 이상(경력별 상이) |
고령자 고용지원금 | 만 60세 이상 근로자 고용 기업 | 기업이 60세 이상 근로자 고용 시 지원 | 근로자 1명당 분기 30만 원(최대 2년) |
3. 신청 방법 및 절차
- 매년 12월~1월, 각 지역 시니어클럽, 노인복지관, 행정복지센터 등에서 참여자 모집
- 방문 신청: 주소지 인근 수행기관(시니어클럽, 복지관, 센터 등) 방문
- 온라인 신청: 노인일자리 여기, 복지로, 정부24
- 기업 고용지원금: 고용24에서 온라인 신청 또는 고용센터 방문
- 필요서류: 신분증, 주민등록등본, 기초연금 수급 확인서(공익형), 경력·자격증(경력형), 사업자등록증(기업)
- 선발 기준: 연령, 소득, 건강상태, 업무역량, 참여경력 등 종합 평가
- 신청 후 12월~1월 중 개별 통보(지자체별 일정 상이)
4. 유의사항 및 TIP
- 공공형, 사회서비스형, 시장형 등 중복 참여 불가
- 장기요양등급(1~5등급) 수급자는 원칙상 참여 제한(인지지원등급자는 예외 가능)
- 사회서비스형·시장형·신중년형은 근로계약 필수, 국민건강보험 직장가입자 등록 가능
- 기업 고용지원금은 60세 이상 근로자 수 증가 시만 지급
- 거짓·부정 수급 시 지원금 환수 및 1년간 지급 제한
- 자세한 상담은 노인일자리 상담 대표전화(1544-3388)로 문의
5. 정부 및 지자체 관련 부서 안내
지역 | 부서명 | 연락처 | 바로가기 |
---|---|---|---|
전국 | 보건복지부 노인정책과 | 044-202-3472 | 보건복지부 |
전국 | 노인일자리상담센터 | 1544-3388 | 노인일자리 여기 |
전국 | 고용노동부 고령사회인력정책과 | 1350 | 고용노동부 |
서울특별시 | 서울시 어르신복지과 | 02-2133-7416 | 서울시 어르신포털 |
관련 영상
반응형
'혜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형면허 시험장 정보부터 학원비까지 완벽 분석 (3) | 2025.06.12 |
---|---|
청년지원금 꼭 챙겨야 하는 지원금 (0) | 2025.06.06 |
서울 청년월세 지원 신청방법 총정리! 월세 20만원 최대 1년 지원받는 꿀 (1) | 2025.06.06 |
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및 지자체별 지원 총정리 (2) | 2025.06.06 |
저소득층 생활지원금 총정리 (2) | 2025.06.06 |